엔비디아 컴퓨텍스 2025 발표 총정리: NVLink, 중국 칩, PsiQuantum

썸네일

엔비디아, 컴퓨텍스 2025에서 AI 기술 총공세…미래 주도권 향한 다층 전략 공개

AI 시대를 견인하고 있는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 NASDAQ:NVDA)가 2025년 5월 19일(현지 시각)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컴퓨텍스(Computex) 무대에서 자사의 AI 전략과 미래 지향적 기술 로드맵을 포괄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2시간에 걸친 키노트 연설을 통해 AI 인프라, 칩 설계, 소프트웨어, 글로벌 파트너십, 그리고 양자컴퓨팅에 이르기까지 엔비디아의 총력전을 선포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제품 출시를 넘어, 엔비디아가 AI 생태계에서 얼마나 전략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술적 과제를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기사 네 편의 내용을 철저히 반영하여, 발표된 모든 기술, 기업 협업, 중국 시장 전략, 그리고 양자컴퓨팅 투자 논의까지 빠짐없이 정리합니다.


1. 컴퓨텍스 키노트: 엔비디아의 기술 포트폴리오 전면 공개

젠슨 황은 AI 데이터센터용 신제품,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AI 에이전트 소프트웨어, 로봇용 AI 시스템, 신형 AI 서버 플랫폼 등을 대거 공개했습니다. 이번 키노트는 그 자체로 엔비디아가 단순 GPU 제조사를 넘어 AI 플랫폼 기업으로 탈바꿈했음을 천명한 무대였습니다.

주요 발표 내용 요약

  • AI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기술
  • 소형 폼팩터 AI 슈퍼컴퓨터
  • 로봇용 AI 소프트웨어
  • AI 에이전트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 DGX Spark: AI 연구자용 데스크톱 컴퓨터, 수주 내 출하 예정

젠슨 황은 “이제 우리 발표의 90%는 그래픽 칩이 아닌 AI에 관한 내용”이라고 강조하며, 엔비디아의 정체성이 근본적으로 변화했음을 시사했습니다.


2. NVLink Fusion 공개: 개방형 AI 인프라의 서막

이번 키노트에서 가장 주목받은 기술 중 하나는 바로 NVLink Fusion입니다. 이는 다양한 칩 간 통신을 고속으로 연결해 AI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기술로, AI 컴퓨팅 인프라의 설계 방식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 NVLink Fusion은 타사의 칩도 연결 가능한 플랫폼으로, 엔비디아 서버의 폐쇄성을 탈피하는 전환점
  • Marvell, MediaTek은 이 기술을 활용해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설 예정
  • GB200 시스템(2개의 Blackwell GPU + Grace CPU)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활용됨

이 기술을 통해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생태계를 독점이 아닌 플랫폼 중심으로 확장하려는 전략을 본격화했습니다.


3. 대만 중심 전략과 ‘Constellation’ 거점 발표

엔비디아는 타이완 타이페이에 새로운 오피스 ‘엔비디아 컨스텔레이션(Nvidia Constellation)’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한 지역 거점을 넘어, 글로벌 AI 생산 거점으로서의 대만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 Foxconn(폭스콘, TW:2317)과 협업하여 AI 팩토리 설립
  • 해당 공장에서는 Blackwell GPU 기반 AI 인프라 생산 예정
  • 협력사: Acer, MSI, Gigabyte, Fujitsu, Qualcomm, Marvell, MediaTek 등 총망라

젠슨 황은 “대만은 엔비디아 성장의 핵심 엔진”이라며, TSMC와 폭스콘이 가장 중요한 공급망 파트너임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4. 중국 대응 전략: 다운그레이드 AI 칩 출시 예정

미국 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을 위한 별도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니케이 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규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다운그레이드된 AI 칩을 중국 시장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 새로운 중국 전용 칩: 기존 Hopper 기반, HBM 미탑재
  • 현재 판매 중인 H20보다 하향된 성능
  • Blackwell 기반 중국 전용 칩도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 해당 제품 모두 미국 수출 규제에 부합하도록 설계됨

중국 시장은 2024년 기준 엔비디아 매출의 약 14%를 차지하며, DeepSeek, ByteDance, Alibaba, Baidu 등이 주요 고객이었습니다. 하지만 화웨이 등 중국 토종 칩 기업의 성장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엔비디아 입장에서는 수익성과 입지 방어라는 이중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5. 양자컴퓨팅 투자 논의: PsiQuantum과의 접촉

엔비디아는 전통적인 AI 중심 전략을 넘어서 양자컴퓨팅 영역으로도 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The Information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실리콘밸리 기반 스타트업인 PsiQuantum에 전략적 투자를 논의 중입니다.

  • PsiQuantum은 광자 기반 양자컴퓨팅(Photonic Quantum Computing)을 개발 중
  • 기존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 양자칩 생산 목표
  • 7.5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 중, 사전 밸류에이션 60억 달러
  • 협력사: GlobalFoundries, 미국·호주 정부

이번 투자가 성사될 경우, 이는 엔비디아의 첫 물리적 양자컴퓨터 투자 사례가 됩니다. 지금까지는 CoreWeave, xAI 등 AI 중심 기업에 집중 투자해왔으며, 이는 전략적 기술 다각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AI, 칩, 양자…세 축을 동시에 조율하는 엔비디아의 위상

젠슨 황의 2025 컴퓨텍스 키노트는 단순한 기술 발표를 넘어서, 엔비디아가 어디를 보고 있는지, 그리고 기술 패권을 어떻게 확보하려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자리였습니다. NVLink Fusion은 기술적으로도, 산업 전략적으로도 새로운 이정표이며, 중국 시장의 복잡한 지형 속에서도 규제를 준수하면서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은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또한 PsiQuantum 투자 논의는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다음 세대를 겨냥한 기술적 포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AI와 양자, 두 기술 모두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려는 엔비디아의 다음 발걸음은, 기술 투자자뿐만 아니라 업계 전반에 강력한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


⚠️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용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전 경제 이슈 확인하기 👈 Click!

BiTrade by Moneyouth 유튜브 보러가기 👈 Click!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